< 제주 = 제주프레스 편집국 >
제주도가 서울대학교와 손잡고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정책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협력에 들어간다. 도는 25일 서울대 환경대학원에서 서울대 환경대학원·지속가능발전연구소와 공식 협약을 체결하고, 제주형 기후·환경 연구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X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을 위한 업무협약 (제주=연합뉴스)
■ 기후정책·탄소중립 연구 공동 추진
이번 협약을 통해 세 기관은
▲ 탄소중립 전략 연구
▲ 에너지 전환 정책 자문
▲ 제주형 기후테크 산업 육성 지원
▲ 공무원 환경 역량 강화 교육
등을 중심으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특히 서울대의 학제 간 융합 연구 능력을 활용해,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반에 대한 과학적 근거 기반의 정책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지속가능발전연구소가 축적한 탄소중립 분야 연구 경험도, 제주형 기후테크 생태계 조성 전략에 접목될 예정이다.
■ 세미나·연구포럼·배움여행 프로그램 공동 운영
협약에는 연구뿐 아니라 교육 프로그램도 포함됐다.
- 기후·환경 세미나
- 정책 포럼
- 학술 워크숍
등을 공동 개최하고,
제주가 추진 중인 ‘배움여행(런케이션)’ 프로그램을 서울대와 연계해 확장 운영하기로 했다. 공무원 교육 또한 협력 항목에 포함돼, 공공 분야의 기후정책 대응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제주는 기후위기의 최전선…협력 기반이 중요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협약식에서 “제주는 기후위기의 영향을 가장 먼저 체감하는 지역”이라며, “정부보다 앞서 2035 탄소중립을 선언한 만큼, 산학 협력을 통해 정책의 질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협약은 제주가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라고 말했다.
■ 교육·연구 협력 확대 전망
제주도는 향후 서울대와의 교류를 확대해, 기후교육·환경 데이터 분석·지역 기반 연구 등
교육 부문의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번 협약은 기후정책 중심의 협력이지만,
장기적으로는
▲ 지역 환경 교육 인프라 확충
▲ 학생·연구자 교류 프로그램 구축
▲ 지역 맞춤형 기후 리터러시 교육
등으로도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
제주도 관계자는 “기후 분야는 교육·연구·산업이 동시에 연결되는 만큼 서울대와의 협력은 중장기적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