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제주프레스 편집국)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25일 보수 성향 유튜브 채널 ‘신의한수’ 신혜식 대표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신 대표는 최근 윤석열 전 대통령 측으로부터 체포영장 집행 저지를 요청받았다고 주장하며 관련 문자메시지를 공개한 인물이다.
특검팀은 신 대표가 공개한 메시지의 전달 경로·의도·정확한 경위 등을 확인하기 위해 출석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신 대표는 서울고등검찰청 내 특검 사무실에 도착해 취재진의 질문에 짧은 입장을 밝힌 뒤 조사실로 이동했다.
X
'신의한수' 신혜식, 내란특검 출석
■ 수사 핵심은 ‘요청 여부’와 ‘사실적 전달 경로’
특검은 윤 전 대통령 측과 신 대표 간에 실제로 어떤 소통이 있었는지, 메시지 내용이 누구로부터 전달됐는지, 체포영장 집행과 관련해 구체적 지시나 요구가 존재했는지를 중심으로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다.
앞서 신 대표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앞둔 시점에 대통령실 출신 관계자로부터 ‘지원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연락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일부 내용을 공개한 바 있다. 특검은 공개된 메시지의 진위, 발신자, 전달 목적 등을 일체의 단정 없이 기초 사실 확인 절차로 조사 중이다.
■ 난동 사태 관련 별도 사건도 병행 조사 대상
신 대표는 별도로 서울서부지법 청사 주변에서 발생한 소란 행위와 관련해 교사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어, 특검팀은 필요한 범위 내에서 이 사건과의 연관성 여부도 살펴보고 있다.
특검은 “각 사안은 성격이 다르며, 관련성 여부는 조사 과정을 통해 확인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특검, “사안 확대 해석 경계…사실관계 중심으로 확인”
조은석 특검은 최근 브리핑에서 “모든 조사·자료 확보는 법이 정한 절차에 따라 이뤄지고 있다”며 “특정 정치적 해석이나 추측과는 무관하며, 확인 가능한 사실만을 기반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선을 그은 바 있다.
특검팀은 향후 관계자 소환, 자료 분석 등을 이어가며 메시지 전달 의혹 전반에 대한 조사 방향을 조율할 예정이다. 다만 사건의 성격상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세부 수사 내용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