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제주프레스 편집국)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25일 보수 성향 유튜브 채널 ‘신의한수’ 신혜식 대표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신 대표는 최근 윤석열 전 대통령 측으로부터 체포영장 집행 저지를 요청받았다고 주장하며 관련 문자메시지를 공개한 인물이다.

특검팀은 신 대표가 공개한 메시지의 전달 경로·의도·정확한 경위 등을 확인하기 위해 출석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신 대표는 서울고등검찰청 내 특검 사무실에 도착해 취재진의 질문에 짧은 입장을 밝힌 뒤 조사실로 이동했다.

X
'신의한수' 신혜식, 내란특검 출석

수사 핵심은 ‘요청 여부’와 ‘사실적 전달 경로’

특검은 윤 전 대통령 측과 신 대표 간에 실제로 어떤 소통이 있었는지, 메시지 내용이 누구로부터 전달됐는지, 체포영장 집행과 관련해 구체적 지시나 요구가 존재했는지를 중심으로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다.

앞서 신 대표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앞둔 시점에 대통령실 출신 관계자로부터 ‘지원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연락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일부 내용을 공개한 바 있다. 특검은 공개된 메시지의 진위, 발신자, 전달 목적 등을 일체의 단정 없이 기초 사실 확인 절차로 조사 중이다.

난동 사태 관련 별도 사건도 병행 조사 대상

신 대표는 별도로 서울서부지법 청사 주변에서 발생한 소란 행위와 관련해 교사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어, 특검팀은 필요한 범위 내에서 이 사건과의 연관성 여부도 살펴보고 있다.
특검은 “각 사안은 성격이 다르며, 관련성 여부는 조사 과정을 통해 확인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검, “사안 확대 해석 경계…사실관계 중심으로 확인”

조은석 특검은 최근 브리핑에서 “모든 조사·자료 확보는 법이 정한 절차에 따라 이뤄지고 있다”며 “특정 정치적 해석이나 추측과는 무관하며, 확인 가능한 사실만을 기반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선을 그은 바 있다.

특검팀은 향후 관계자 소환, 자료 분석 등을 이어가며 메시지 전달 의혹 전반에 대한 조사 방향을 조율할 예정이다. 다만 사건의 성격상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세부 수사 내용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