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제주프레스) 제주도가 24일 우도에서 발생한 승합차 보행자 충돌 사고와 관련해 긴급대응체계를 즉각 가동했다. 사고로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하자, 제주도는 단계별 대응조치를 발동하며 현장·병원·행정 조직 간 협조 체계를 확대하고 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이날 오후 우도 천진항 인근 사고 현장을 방문해 부상자 치료 상황, 병원 이송 경로, 현장 안전 통제 현황 등을 보고받고 관계 부서에 “피해자와 가족들이 겪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라”고 지시했다.

X

우도 사고 현장 방문한 오영훈(왼쪽) 제주지사 [제주도 제공]

■ 자치경찰단에 ‘긴급 에스코트’ 지시…렌터카 안전 점검 즉시 착수

오 지사는 부상자 이송 과정에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자치경찰단 긴급 에스코트 체계를 가동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차량이 렌터카로 파악됨에 따라, 도는 즉시 렌터카 업체들을 대상으로 긴급 안전 점검을 시행하라고 관련 부서에 주문했다.

도 관계자는 “사고 원인과 차량 상태에 대한 공식 조사는 별도로 진행되지만, 유사 사고 예방을 위해 렌터카 사업장의 안전 기준을 선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 제주도·제주시, 사고대책본부 투트랙 운영

제주시는 이날 시청 내에 사고대책본부를 설치했고, 우도와 가장 가까운 성산항에도 별도의 현장대책본부를 운영하며 대응력을 강화하고 있다.

대책본부는
▲ 부상자 치료 지원
▲ 사고 경위 조사 협조
▲ 현장 통제와 관광객 안전관리
▲ 재발 방지 대책 마련
등의 업무를 총괄한다.

또한 도는 부상자가 분산 이송된 병원마다 팀장급 공무원을 배치해 환자별 치료 상황을 파악하고 의료진과의 소통을 전담하도록 했다.

■ “피해자별 전담 공무원 배치”…장례·의료·심리 지원까지 확대

오 지사는 “우도를 찾은 관광객이 예기치 못한 사고를 겪어 큰 심려를 끼쳤다”며 “피해자 한 분, 한 분이 충분한 보호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전담 지원 체계를 구성하라”고 당부했다.

도는 피해자별로 1대 1 전담 공무원을 지정해
– 의료 안내
– 가족 지원
– 치료·입원 중 발생할 수 있는 행정 절차 보조
를 책임지고 수행하도록 할 예정이다. 사망자 발생 시 장례 절차 및 필요 지원도 도 차원에서 신속히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제주도는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을 위해 경찰, 소방, 해양교통 관련 기관과의 공동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사고 현장 주변 교통·보행 안전 조치도 병행하고 있다.

제주프레스는 사고 관련 후속 조치와 피해자 지원 상황을 지속적으로 취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