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프레스 | 보배 기자】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김건희 여사에게 오는 24일 오전 10시 출석을 통보했다.
혐의의 핵심은 ‘매관매직’ 의혹—공직 임용 대가로 금품을 받았다는 주장이다.
특검의 시선은 이번에도 예리하다. 그러나 정치권의 시선은 그보다 더 복잡하다.
X
특검 출석한 김건희 [연합뉴스 자료사진]
▣ 특검, ‘매관매직’ 정조준
김 여사는 남부구치소에 수감된 상태에서 재판을 받고 있으며, 특검팀은 구치소를 통해 소환 일자를 공식 통보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서희건설로부터 받았다고 알려진 ‘반클리프 아펠 목걸이’, 그리고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으로부터의 ‘금거북이 선물’ 의혹 등이 다뤄질 예정이다.
특검은 이를 단순한 선물 수수 차원을 넘어 “공직 임용 청탁과 금품 제공의 연결고리”로 보고 있다.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과 이배용 전 위원장은 이미 자수 및 참고인 조사에 응했다.
▣ 정치적 후폭풍 불가피
김 여사는 이미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과 정치자금법 위반, 건진법사 청탁 의혹 등으로 구속기소 상태다. 이번 매관매직 의혹까지 더해지면서, 정치권에서는 ‘대통령실의 도덕성’과 ‘정권의 공정성’이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국민의힘은 “특검이 정치적 수사를 하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고, 야당은 “법 앞의 평등을 확인하는 계기”라며 공세를 이어간다. 결국 이번 조사는 법적 판단을 넘어 정치적 해석이 불가피한 사건이 됐다.
X
휠체어 타고 특검 출석하는 이배용 전 국교위원장 (연합뉴스 자료사)
▣ ‘도이치 주포’ 행방도 미궁
특검은 동시에 ‘도이치 주가조작 주포’로 알려진 이모씨의 신병 확보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압수수색 당시 도주한 이씨에 대해 공개수배까지 검토 중이다. 김 여사가 과거 그에게 증권계좌를 맡겼다는 사실이 이미 확인된 만큼, 이씨의 확보는 향후 재판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