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 대통령실이 6일 김현지 제1부속실장에게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 대비해 ‘용산 대기’를 지시했다.이 지시는 단순한 일정 조정 이상의 의미로 해석된다.

김 실장은 당초 이재명 대통령의 강원도 산불대책 현장 점검 일정에 동행할 예정이었으나,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외부 일정을 취소하고 용산 경내에서 대기 중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회를 존중하는 취지”라며 “국회가 증인 출석을 결정하면 즉시 상임위에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여야의 해석은 엇갈린다. 국민의힘은 “대통령실의 태도 변화는 환영하지만, 김 실장의 국회 출석을 조건 없이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의 일정상 불가피한 상황을 정치 공세로 몰아가선 안 된다”고 맞섰다.

이날 국감에서 김 실장 증인 채택은 불발됐지만, 대통령실이 선제적으로 ‘대기 지시’를 내린 점은 이례적이다. 최근 대통령실과 국회 간 긴장 관계 속에서, ‘국회 존중’이라는 메시지를 정치적으로 선점하려는 행보로도 읽힌다.

한편 김현지 실장은 지난 대선 때부터 이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인물로, 대통령실 내 소통 창구 역할을 맡고 있다. 향후 국회 출석이 현실화될 경우, 대통령실 운영과 관련된 여러 의혹에 대한 질의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보배의 시선
정치의 본질은 결국 ‘신뢰’다. 국회를 존중하는 행위가 단순히 ‘형식적 존중’이 아니라 ‘소통의 실질적 시작’이 되어야 한다. 국민이 지켜보는 것은 말이 아니라 태도다. 이번 ‘용산 대기 지시’가 단순한 정치 제스처로 끝나지 않기를 바란다.

정치·사회·현안을 보배 기자의 시선으로 분석하는 시사칼럼 시리즈

제주프레스 편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