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 = 선보배 기자 / 제주프레스



국가 간 경계가 희미해진 디지털 전장에서, 사이버 공격이 군사적 충돌 못지않은 국가안보 위협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정부는 최근 빈번해진 공공기관 및 주요 기간망 해킹 시도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안보 역량을 국방·행정·민간으로 구분해 통합형 대응체계 구축에 나섰다.

▣ 주요 대응 현황

국가정보원은 이달 초 ‘국가사이버위기대응센터’ 정기 점검 결과를 발표하며 “국가기관 대상 외국 해커조직의 탐색 활동이 전년 대비 약 18% 증가했다”고 밝혔다. 공공기관뿐 아니라, 에너지·금융·통신 등 민간 기반시설에 대한 탐지 건수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해킹 시도 대부분은 해외에서 유입된 IP를 이용한 탐색형 공격이며, 대규모 정보 탈취보다는 장기적 침투를 노리는 정찰형 공격이 많다”고 설명했다.
국방부 역시 올해 말까지 사이버방호훈련(Cyber Defense Exercise) 을 확대해 한미 간 실시간 모의공격·방어 훈련을 강화하기로 했다.

▣ 전문가 분석 ‘기술 방어’에서 ‘국가 전략’으로

한국국방연구원(KIDA) 김정훈 연구위원은 “사이버전은 더 이상 IT 부서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전략 차원의 억제 체계로 봐야 한다”며, “전력망, 교통, 통신 등 필수 인프라가 디지털화된 만큼, 공격은 곧 물리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보보호 분야 전문가들은 사이버 공격이 점점 정교해지는 만큼, 기술적 방어를 넘어선 ‘공공–민간 정보공유 네트워크’ 구축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국가 주도의 대응만으로는 실시간 탐지가 어렵기 때문이다.

▣ 제주 지역 대응과 과제

제주는 관광·항공·물류 등 ICT 연계산업이 많은 지역으로, 최근 도내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한 피싱메일 사례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제주도청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협력해 ‘사이버보안 공동대응 훈련’을 도입, 공공기관 보안 담당자 실습형 교육을 진행 중이다. 도청 관계자는 “사이버공격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제 피해는 현실적”이라며, “특히 도민 개인정보를 다루는 행정망은 단 한 번의 침해도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기록은 힘이 되고, 진심은 결국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