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 선보배 기자 / 제주프레스
최근 전국 공공기관과 금융권을 중심으로 해킹 시도가 급증하면서, ‘섬 지역 보안’에 대한 경각심도 높아지고 있다. 제주 역시 관광객과 거주민 데이터를 동시에 다루는 특수 지역으로, 개인정보 보호와 행정보안의 접점이 새로운 안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제주도청 정보보호담당관은 “도민의 개인정보는 단순 행정자료가 아니라 생존 기반”이라며, “관광·행정·금융이 한 공간에 얽힌 제주에서는, 데이터 유출이 곧 지역 신뢰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 실제 사례
지난달 도내 한 숙박 플랫폼 관리 서버가 외부 IP 접속 시도를 6차례 받았다. 즉각 차단됐지만, 공격 IP는 러시아와 동남아에서 차례로 유입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 사건은 피해가 없었지만, 사이버 공격이 ‘국가 간 행위’뿐 아니라 민간생활 영역까지 스며들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로 평가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제주를 포함한 지방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지방정부 사이버대응 훈련’을 확대 시행하고 있다. 올해 제주 지역의 참여율은 94%로 전국 평균(87%)을 웃돌았다.
▣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보안
문제는 기술만으로는 완전한 방어가 어렵다는 점이다. 최근 피싱, 스미싱 등 사회공학적 공격이 급증하면서, 일반 시민을 겨냥한 피해가 기관 수준의 공격보다 더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제주대학교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사이버안보는 결국 사람의 문제”라며, “도민이 경각심을 가지는 순간, 지역 전체의 방어력이 달라진다”고 강조했다.
"기록은 힘이 되고, 진심은 결국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