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 선보배 기자 / 제주프레스



제주가 ‘스마트섬’으로 불릴 만큼 디지털 산업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관광·물류·모빌리티 등 IT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사이버안보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올해 초, 제주관광공사 산하 한 서버에서 악성코드 유입 시도가 탐지됐다. 즉시 격리 조치됐지만, 이후 조사 결과, 공공 와이파이망을 통해 외부인이 무단 접근을 시도한 정황이 확인됐다. 이는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관광객과 도민이 동시에 사용하는 ‘공공망 취약성’이 드러난 사례였다.

▣ 산업 성장과 보안의 딜레마

제주는 스마트 모빌리티·무인 결제·드론 배송 등 ICT 융합서비스를 도입하면서, 데이터 처리량이 폭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보 접근 경로가 늘어나고 해킹 표적도 세분화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역 기반 디지털산업은 발전 속도에 비해 보안 투자가 뒤따르지 않는다”며, “제주는 ‘스마트관광도시’ 시범지역인 만큼, 전국에서 가장 먼저 체계적인 보안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 도민이 체감하는 변화

제주도청은 최근 ‘지역 사이버안전망’ 구축을 목표로, 공공데이터센터와 주요 기간망의 보안관제 통합 플랫폼을 구축 중이다. 도내 중소 IT업체에도 보안 솔루션 설치를 지원하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지역 스타트업들은 “보안은 비용이 아니라 신뢰의 시작”이라며, ‘도민 데이터 자율보호 협약’을 체결, 자발적 보안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 기자 메모

제주의 미래산업은 기술이 아니라 신뢰 위에 세워져야 한다. 관광객이 안심하고 QR코드를 스캔하고, 도민이 편하게 공공앱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 그 평범한 일상이 곧 제주의 사이버안보가 실현된 모습이다. ‘디지털섬 제주’의 성공은 더 빠른 인터넷이 아니라, 더 안전한 연결에서 시작된다.

"기록은 힘이 되고, 진심은 결국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