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프레스 편집국 / 제주프레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는 25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선거 관리의 기본은 신뢰이며, 이를 위해 기술적·인적 이중 검증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최근 온라인상에서 제기된 일부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해 “모든 선거는 법에 따라 공정하게 관리되고 있으며, 제기된 의혹은 사실과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선관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단 질의에 “투표 장비, 개표 장비, 선거인명부 시스템 등은 외부 검증과 내부 감사를 병행하고 있다”며, “특히 2026년 예정된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보안 관리 수준을 한층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 선관위의 기술·인력 점검 현황
·투표 장비 검증: 국방부·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외부 전문기관의 보안 진단 실시 중
·개표 참관 확대: 정당 추천 참관인 외에도 시민참관단 시범 운영 검토
·데이터 이중 관리: 전국 17개 시·도 선관위의 선거인명부 전산망을 중앙 서버와 동기화, 위변조 방지시스템 강화
·인력 재교육: 선거 담당 공무원 1,200명 대상 ‘공정성·기록관리’ 집중 교육 시행
선관위는 “부정선거 의혹은 관리 시스템의 불투명성에서 비롯된 불신이 크다”며, “기술적 완전성뿐 아니라 국민이 절차를 ‘보는 신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전문가 분석
정치학자 이모 교수(서울대 행정대학원)는 “현대 선거의 신뢰는 결과보다 절차적 투명성에서 비롯된다”며, “선관위가 투표·개표 시스템을 공개적으로 검증받는 구조를 강화하는 것이 최선의 대응”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국민의 의심을 봉쇄하는 게 목적이 아니라, 투명한 과정으로 의심이 사라지게 하는 것이 민주주의 선거관리의 본질”이라고 덧붙였다.
▣ 제주 관점에서 본 의미
제주특별자치도는 인구 이동이 잦고 외지인 유입이 많아, 선거인명부 관리의 정확성이 특히 중요하다. 제주도선관위는 올해 3월부터 ‘도내 유권자 실명·주소지 일치율 검증’ 시스템을 시범 운영 중이다. 도선관위 관계자는 “중앙선관위의 기술 점검 기준에 맞춰 제주도 내 선거구 자료를 실시간 업데이트하고 있다”며, “선거 과정에 대한 신뢰가 곧 제주지역 공동체의 안정과 직결된다”고 말했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불신을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모든 절차의 투명 공개”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한 지역 정당 관계자는 “제주는 지역사회가 좁은 만큼, 작은 의혹도 확대되기 쉽다”며, “공정성과 투명성을 지속적으로 입증하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기록은 힘이 되고, 진심은 결국 전해진다.”